《금산 총대놀이 줄거리》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연희극 '금산총대놀이’는 신통력과 구원,
악의 상징과 인연을 통해 인간의 구원과 희망을 그려낸다.”
원작 연출 / 박한열
1. 첫째 마당 “신통 놀이”
총대와 샛대는 인삼밭의 역병을 물리치기 위해 신에게 기원합니다. 총대는 춤을 추다 힘이 다해 쓰러지고, 샛대는 총대를 소생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산신할메가 나타나 샛대에게 손가락을 희생하라고 조언하고, 샛대는 손가락을 자르고 피를 총대에게 먹여 총대를 소생시킵니다.
2. 둘째 마당 “늑대 놀이”
총대가 샛대를 소생시키기 위해 춤을 추는 동안, 늑대가 나타나 샛대를 데려가려 합니다. 총대와 늑대가 싸우고, 산신할메가 나타나 늑대를 물리칩니다. 산신할메는 샛대와 미듭의 인연이 인삼밭의 역병을 물리칠 것이라고 예언합니다.
3. 셋째 마당 “땡추중 놀이”
샛대와 미듭이 서로에게 끌리며 사랑을 나누지만, 땡추중이 나타나 미듭이 요물이라고 주장합니다. 샛대와 땡추중이 싸우고, 샛대가 승리하여 미듭을 지킵니다. 샛대와 미듭은 인연을 맺고 인삼밭의 역병을 물리치기로 결심합니다.
4. 넷째 마당 “매듭 놀이”
고을 사람들이 샛대와 미듭의 결혼식을 준비하며 축하합니다. 총대는 신들에게 기원하며 두 사람의 인연이 영원히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샛대와 미듭은 술을 마시며 영원한 사랑을 맹세합니다.
5. 다섯째 마당 “회의춤 놀이”
땡추중이 등장하여 미듭과 샛대의 인연을 방해하려 합니다. 땡추중은 미듭을 요물로 몰아가며 두 사람의 매듭을 풀려고 합니다. 샛대와 미듭은 아이를 출산하지만, 아이 대신 인삼 뿌리가 나옵니다. 샛대는 미듭을 요물로 오해하고 목을 조르지만, 미듭은 도망칩니다. 산신할메가 나타나 땡추중과 싸우고, 땡추중은 도망칩니다.
6. 여섯째 마당 “타락 놀이”
샛대는 자갈피들과 함께 타락에 빠져 주색잡기를 합니다. 총대는 샛대를 꾸짖고, 샛대는 미듭을 찾으러 떠나지 않겠다고 합니다. 삼잎들이 샛대에게 미듭을 찾아와야 한다고 애원합니다.
7. 일곱째 마당 “화합 놀이”
샛대는 미듭을 찾아 방방곡곡 헤매며 방랑의 춤을 춥니다. 미듭도 혼란 속에서 진실을 갈구하며 춤을 춥니다. 두 사람은 무대 중앙에서 만나 서로를 용서하고 다시 시작하기로 합니다. 샛대와 미듭은 함께 춤을 추며 화합을 이루고, 고을 사람들과 함께 축제를 벌입니다.
**금산 총대놀이 주제**
- 인연과 운명: 샛대와 미듭의 인연은 신의 뜻에 의해 맺어지며, 그들의 사랑과 결합이 고을의 평화와 번영을 가져옵니다.
- 희생과 헌신: 샛대와 미듭은 서로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며, 그들의 사랑이 고을의 역병을 물리칩니다.
- 악과의 싸움: 땡추중과의 대결은 악과의 싸움을 통해 선의 승리를 상징합니다.
- 화합과 용서: 샛대와 미듭은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며, 고을 사람들과 함께 화합을 이루어 행복을 찾습니다.
이 전통연희 연극은 인삼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잘 반영하며, 인간의 인연, 희생, 사랑, 신앙, 그리고 악과의 싸움을 다루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고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화합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금산 총대놀이 커뮤니티**
금산 총대놀이는 앞으로, 지역 주민들과의 협력을 통해 공연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전통문화 공연으로 발전시킬 것입니다.
본 작품은 저작권 보호 작품으로 무단 복사 전재 안 됩니다.
작가 박한열 - by Hanyeol Park
'나의 집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전통연희연극 “금산총대놀이” 공연, 전통과 현대의 조화 (0) | 2024.06.25 |
---|---|
일타홍-이취련(李翠蓮) (1546~1585)의 초상화(영정) 공개 (0) | 2023.09.30 |
뮤지컬 '일타홍' 부제: 이취련_출연진 소개 (0) | 2023.09.27 |
난계 '박연 朴堧'을 그린 영화 <연악: 나의운명> (0) | 2023.08.26 |
올여름 극장가에 역대급 천재들이 온다!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