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담헌 홍대용 초상화 더보기
전통연희 연극 "금산 총대놀이" 《금산 총대놀이 줄거리》“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연희극 '금산총대놀이’는 신통력과 구원, 악의 상징과 인연을 통해 인간의 구원과 희망을 그려낸다.”원작 연출 / 박한열 1. 첫째 마당 “신통 놀이”총대와 샛대는 인삼밭의 역병을 물리치기 위해 신에게 기원합니다. 총대는 춤을 추다 힘이 다해 쓰러지고, 샛대는 총대를 소생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산신할메가 나타나 샛대에게 손가락을 희생하라고 조언하고, 샛대는 손가락을 자르고 피를 총대에게 먹여 총대를 소생시킵니다. 2. 둘째 마당 “늑대 놀이”총대가 샛대를 소생시키기 위해 춤을 추는 동안, 늑대가 나타나 샛대를 데려가려 합니다. 총대와 늑대가 싸우고, 산신할메가 나타나 늑대를 물리칩니다. 산신할메는 샛대와 미듭의 인연이 인삼밭의 역병을 물리칠 것이라고 예언합.. 더보기
2026 월드컵 3차 예선 조 추첨 확정 그룹 A1. 이란2. 카타르3. 우즈베키스탄4. 아랍에미레이트5. 키르기스스탄6. 북한 그룹 B1. 한국2. 이라크3. 요르단4. 오만5. 팔레스타인6. 쿠웨이트 그룹 C1. 일본2. 호주3. 사우디 아라비아4. 바레인5. 중국6. 인도네시아 더보기
보도자료-전통연희연극 “금산총대놀이” 공연, 전통과 현대의 조화 보도자료(press release)전통연희연극 “금산총대놀이” 공연, 전통과 현대의 조화  보도자료(press release)전통연희연극 “금산총대놀이” 공연, 전통과 현대의 조화 오는 2024년 7월 26일 금요일 저녁 7시, 금산다락원소극장에서 전통연희연극 "금산총대놀이"가 공연된다. 이번 공연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독특한 연희극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다. "금산총대놀이"는 총 7개의 마당으로 구성된 전통연희극이다. 각 마당은 신통력, 구원, 악의 상징, 인연, 불신, 타락, 해후 등의 주제를 다루며, 다양한 춤과 상징적인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첫째 마당에서는 총대가 자신의 신통력을 발휘하여 역병에 걸린 들풀들을 치유하고, 촌장 미듭을 소생시키려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둘.. 더보기
박한열 희곡 1집, 2집, 3집, 4집 더보기
한국 전통 궁중요리 13선 대한민국 전통 궁중요리황혜성 선생(1920~2006)무형문화재 제38호 궁중요리 제2대 기능보유자   1. 오이선-재료 : 오이, 고기, 버섯 등-모두 채썰기-오이는 칼집을 넣어 소금으로 절임.-쇠고기와 버섯은 양념으로 버무림, 볶음-오이 칼집 사이에 지단, 쇠고기, 표고버섯을 끼운다.-초, 꿀, 소금을 섞은 물을 오이 위에 뿌림.  2. 탕평채-봄철음식-쇠고기는 가늘게 채썰어 양념해서 볶음.-미나리, 숙주, 김, 묵은 길게 친다.-간장, 참기름, 식초 등으로 만든 양념장-양념장과 미나리, 숙주 등과 무친다.-모두 한 그릇에 담고 위에 오색고명으로 장식  3. 화양적-재료 : 도라지, 표고, 당근, 오이, 쇠고기 등을 꼬치에 껴서 만든 음식-재료를 같은 크기로 썬다.-쇠고기는 양념과 함께-도라지, 당근 .. 더보기
일타홍-이취련(李翠蓮) (1546~1585)의 초상화(영정) 공개 일타홍-이취련의 초상화(영정) 공개일타홍(이취련) 초상화 영정 공개1546년(명종 원년)~1585년(선조18년)조선 중기 명기이자 여류시인대표작 : 실제(失題), 상월(賞月),체우북영(滞雨北營), 경정(敬呈)뮤지컬 '일타홍' 금산다락원 대공연장 2023년 10월 6일~7일. 오후 3시공연극작 연출/박한열. 작곡/박요한. 안무/박신영 더보기
뮤지컬 '일타홍' 부제: 이취련_출연진 소개 뮤지컬 일타홍 부제: 이취련 이취련(1546~1584)은 일타홍의 본명이며 그녀의 본관은 금산 이씨이다. 최고의 연기력을 갖춘 중견 연기자 배우들과 지역주민 배우들이 콜라보로 올리는 공동체 뮤지컬 '일타홍'은 망나니였다던 일송을 정승판서까지 오르게한 명기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진실은 심희수는 망나니가 아니었다. 일송 심희수는 왕비의 육촌 아우로 외척이었으며 당시 청송 가문에서 유일하게 벼슬 길에 오른 외척이었다. 거슬러 오르면 그의 집안은 세종대왕의 장인이었던 심온까지 연결 된다. 자세한 이야기는 공연을 관람하면 더욱 유용할 것이다. 2023년 10월 6일~7일. 매일 오후 3시 공연 금산다락원 대공연장 러닝타임 120분 극작 연출: 박한열. 작곡: 박요한. 안무: 박신영. 미술영상: 박태경. 의상.. 더보기